[현장 카메라]교류 끊은 코로나…영정도 없는 ‘고독사’

2022-03-28 238



코로나가 덮치며, 외롭게 살던 사람들은 사회와 더 거리를 두어야 했습니다.

안타깝게도 혼자 숨지는 무연고 사망자들이 늘었는데요.

마지막 목소리도 남기지 못한 슬픈 고독사 현장을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유행으로 친구나 이웃과 교류할 기회가 많이 줄었습니다.

어르신들로 북적였던 경로당은 이렇게 폐쇄됐는데요.

소통과 교류가 줄어든 우리 주위엔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

현장으로 갑니다."

서울 강동구의 빌라에서 70대 노인이 숨진 채 발견된 건 지난 20일. 악취가 난다는 집주인의 신고가 있었습니다.

이 노인의 모습은 앞서 2주간 동네에서 보이지 않았습니다.

[인근 주민]
"가끔 뵌 적 있었거든요. (집) 앞에도 자주 안 나오셨어요."

구청과 주민센터에서 주기적으로 안부 전화나 가정 방문을 했지만, 외로운 죽음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주민센터 관계자]
"확인 전화할 때도 보면 공원 산책하고 운동도 한다고 하고 꽤 (건강이) 괜찮은 편이었는데."

코로나19가 발병한 지난 2년간 독거노인들의 고립은 심해졌습니다.

[80대 노인]
"(경로당) 요즘 다 닫았잖아. 요즘 안 열어. 집에 있으면 가만히 드러누워서 TV 보고, 자고 그러니까 건강이 안 좋아지지."

소통 단절은 고령층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고독사한 40대 남성의 유품을 거두는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김새별 / 유품정리사]
"이런 상황이면 (숨진 지) 2주 정도 되셨을 것 같아요. 소통만 많이 있었다면 금방 주변에서 (알고) 늦게 발견되는 일은 없었을 텐데…."

집에서는 마지막까지 삶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자필 메모와 함께 수십 개의 술병이 발견됐습니다.

[인근 상인]
"퀴퀴한 냄새가 나서 주민이 신고했다는데. 거기 아저씨가 술 사러 오고 그러는데 제가 보기엔 되게 (건강이) 안 좋아 보이더라고요."

연고가 없거나 경제적 이유로 시신 인수를 포기한 '무연고 사망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약 20% 늘어났습니다.

[김새별 / 유품정리사]
"코로나 이후로는 40~50대 중장년층의 고독사가 많이 늘어난 것 같아요. 본인이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 주변에 어려운 소리도 못하고 스스로 주변 사람들을 밀어내다 보니까…"

무연고 사망자는 지방자치단체의 위탁을 받아 시민단체와 장례업체가 유족 대신 장례를 지냅니다.

[현장음]
"외롭고 힘들었을 삶의 무게를 내려놓고 영원히 가시는 길이 아쉬워 이렇게 술 한 잔 올려드렸습니다."

영정사진이 없는 액자가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라는 걸 알려줍니다.

공영장례 지원 조례가 없는 지자체에서는 이런 장례 절차도 없습니다.

애도의 시간 없이 곧바로 화장되기 때문입니다.

[김민석 / 공영장례 지원단체 팀장]
"모든 인간이 존엄하게 태어났다면 마무리도 당연히 존엄해야 하고. 고인을 애도할 수 있는 권리는 모두가 가져야 하는 보편적 권리이기 때문에."

사회적 단절이 부른 고독사는 코로나 시대의 또다른 그늘이 되고 있습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PD : 김남준 장동하


정다은 기자 dec@donga.com